Easter,[nb 1] also called Pascha[nb 2] (Aramaic, Greek, Latin) or Resurrection Sunday,[nb 3] .. having occurred on the third day of his burial following his crucifixion by the Romans at Calvary c. 30 AD
이스터 를 부활절 하는데, 왜 이스터냐.

In Latin and Greek, the Christian celebration was, and still is, called Pascha (Greek: Πάσχα), a word derived from Aramaic פסחא (Paskha), cognate to the Hebrew פֶּסַח‎ (Pesach). The word originally denoted the Jewish festival known in English as Passover,

히브루 패쓰오버 유월절 을 페싸흐,  아라머 페싸크하, 그리스 페쓰카.

The Reckoning of Time (Latin: De temporum ratione, CPL 2320) is an English era treatise written in Medieval Latin by the Northumbrian monk Bede in 725.

비드 의 책 라틴어, 데 템포룸 라티오네, of times about reasoning,  시간들의 것에 대해 계산함에 대하여, 라는 책. 하늘을 보고 달력 맹그는 책이야.

Ēostre ([ˈeːostre])[1][2][3] is an Anglo-Saxon goddess mentioned by Bede in his 8th century work The Reckoning of Time.
여기에 등장하는 여신이 에오쓰트레, 앵글로 색슨의 여신. 이 신을 기리는 달이 4월 이거든. 부활절이 겹치는 달이라서, 에오스트레 축제일로 대신 쓰면서 이스터 라고 하는거지. 그래서 당연히, 독어 영어 애들만 이쓰터, 해대는 거고, 로망쉬 애들은 페쓰카 하는겨 이 무시기더라.

영국에서, 슬람님들이 왜 이스터하냐, 영국은 슬람님들 나라다, 이스터 없애라, 다양성 위배다 해댄대.

ㅅㅂ 세상이 슬라미들 번식 땅이 되민서, 슬라미가 다양성주인이고 머 조선땅은 유교가 슬람이라, 걍 세상이 게판 일분전.


'카테고리없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 slice of weed  (0) 2025.04.21
쑤 헤르모싸 쏜리사  (0) 2025.04.21
너 이게 만냐?  (0) 2025.04.20
쯔빌리  (0) 2025.04.20
寛平御記  (0) 2025.04.20

+ Recent posts